1) 개념 : 읽기의 전체 과정에서 유효적절한 기능이나 전략을 활용하도록 지도하는 지도 방법 (국교이 p.240)
2) 독서 절차에 따른 전략
단계 | 특징 및 전략 |
읽기 전 단계(활동) | - 학습 목표나 읽는 목적 확인하기 - 연상하기, 경험 떠올리기를 통한 배경지식 활성화 (글의 내용이나 형식 등에 대해) - 훑어보기를 통한 예측하기, (상상하기) - (생기는 궁금증을) 질문 만들기 |
읽는 중 단계(활동) | - 글의 장르에 대해 추론, 글의 구조와 전개 구조를 분석, 글의 기능을 이해 - 기저 가치를 분석, 맥락적 의미 등을 추리 - 사실과 의견을 구별, 글의 내용을 정교화, 글의 내용과 추론한 내용을 평가하고 감상 - 초인지를 활성화하고 활용 - 도해 조직자 활용하기, 질문하기, 메모하기 등과 같은 다양한 보조 활동(비계) 제공하고 유도 |
읽은 후 단계(활동) | - 중심 내용이나 전체 내용을 요약 - 도해 조직자 등을 활용하여 중요한 내용을 정리 - 글의 분위기와 필자의 진정한 의도, 중요하게 생각하게 된 것 등을 추론 - 읽은 바에 대해 평가와 비판 - 글의 표현의 특징에 대해 정리 - 읽기 방법에 대해 검토, 점검하고 반성 - 상호텍스트 읽기 |
과정 중심 접근법 이점
1. 글을 읽는 방법, 전략 활용 방법을 가르쳐 줄 수 있음
2. 학생들이 읽기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함(학생 활동 중심)
3. 학생들의 개인차를 자세히 파악할 수 있음
4.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음
참고 : 글 구조 파악 전략
효과
1. 글을 더 쉽고 풍성하게 이해
2. 글의 내용을 더 많이 회상
3. 생략된 내용을 쉽게 추론
4. 주제 파악이 용이
독서교육론 8장 (0) | 2023.04.16 |
---|---|
독서교육론 4장, 5장 (0) | 2023.04.16 |
독서교육론 2,3장 (0) | 2023.03.19 |
비판적 읽기 (0) | 2023.03.19 |
독서교육론 5장 독서와 텍스트 (0) | 2023.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