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식 환경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디지털 미디어는 문식 환경과 소통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디지털 미디어 : 텍스트, 영상, 음성, 데이터 등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처리하고 전송하며 표시하는 미디어
1) 수직적 소통 방식에서 수평적 소통 방식으로의 변화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으로 생비자의 관계가 형성
학습자를 문화적 교양의 대상이라기보다는 '디지털 민중', 즉 능동적인 문화 생산자로 인정하고 국어 수업이 문화 창조의 장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공론화
디지털 미디어에 의해 생산된 텍스트의 비판적, 창의적 수용과 생산 능력을 뜻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문식 환경의 변화에 따른 뉴스 기사 및 댓글, 댓글에 대한 댓글 분석을 통해 구조 문식성을 밝힘
실천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함
필자가 생산한 텍스트를 독자가 소비하는 하향식이 아니라 독자가 직접 사회 여론 형성에 참여하는 상향식 소통 방식으로 변화 -> 작문 교육 역시 수평적 소통 방식을 다루어야 함
2) 일방적 소통 방식에서 상호작용적 소통 방식으로의 변화
디지털 미디어의 특징 : 복합성, 선택성과 통제성, 조작가능성, 상호연결성
이러한 특징들은 상호작용성이라는 특성에 통합될 수 있다.
3) 글쓰기 공간의 확장
글쓰기와 환경이 어우러져 또 다른 메시지를 전달하는 형태의 글쓰기 공간
4) 제3의 구술성 등장
현재성과 동시성
2. 문식 환경 변화에 따른 표현 양상의 실제는 어떠한가
1) 사회적 여론 형성
2) 행동적 글쓰기 및 실천
3) 익명 집단 의사소통
4) 온라인 문학 소통
집합적 창작 생태계 : 커뮤니티에서의 집합적 창작 학습 과정
5) 집단 지식의 생산
3. 작문 교육 변화의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가
기존의 필자와 독자는 그 구분이 명확했으나, 이제 둘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대등하고 협력적인 관계가 형성되었으며, 공동체에 대한 참여적 성격이 강화되었다.
작문 교육에서 공동체 글쓰기, 실천적 글쓰기, 통합적 글쓰기를 강화해야 한다.
사회 구성주의 작문 이론에서 인지 구성주의 작문 이론의 문제점 (0) | 2023.06.30 |
---|---|
다양한 표현 방법 활용해서 글쓰기 (0) | 2023.06.14 |
설득하는 글쓰기 고쳐쓰기 기준 (0) | 2023.05.05 |
정보전달 글쓰기 자료 선별 (1) | 2023.05.05 |
쓰기 일지(저널 쓰기) (0) | 2023.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