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 사회적 상호 작용
1. 참여자 인식
구어 의사소통의 특징은 실시간으로 상대를 마주 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의사소통 상황에서 인식해야 할 참여자는 크게 청자와 화자로 구분
연설, 발표, 토론, 토의 등 주로 공적인 맥락에서의 참여자 인식에 대해 논의
화자에 대한 인식은 말하는 주체로서의 '나'에 대한 인식을 의미
나에 대한 인식에는 화자로서의 정체성, 의사소통 상황에서 요구되는 역할, 의사소통 목적의 달성을 위해 감당해야 할 기여 등이 포함됨
청자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청자 분석'에 관한 것
말할 내용의 전달은 결국 청자의 지식 변화, 태도 변화, 행동 변화 등 말을 듣는 사람의 변화를 목적으로 함
참여자 인식에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 :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대한 인식
가. 청자에 대한 인식
1) 청자 분석의 중요성
청자 분석은 의사소통 상대를 면밀히 분석하여 말할 내용을 효과적으로 생성, 조직하고 자신의 표현과 전달 방식을 조정하는 데 필요한 필수적인 화법 능력 그 자체이다.
청자를 분석하는 것만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청자 분석을 통해 얻은 정보를 내용 구성에 적용하는 과정과, 표현과 전달 전략을 조정하는 과정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
파악한 정보를 화법 수행에 어떻게 적용하는가가 최종 목표이기 때문
2) 청자 분석의 내용
청자의 인지적, 심리적 특성에 대한 분석이 더욱 중요
5가지 핵심 요인 : 청자의 요구, 지적 수준, 주제에 대한 사전 지식, 주제 관련 입장(=기존 입장), 개인적 관련성
*요구
청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화자가 준비한 정보를 일방적으로 나열하여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청자가 얻고자 하는 필요에 따라 내용을 구성하고 전달하여야 한다.
*지적 수준
청자의 지적 수준은 말할 내용의 난이도를 결정
지적 수준이 낮을 경우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단순하고 명료하게 제시하고,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청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내용 구성 필요
지적 수준이 높을 경우 주제와 관련된 구체적인 자료,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의 양면을 심도 있게 분석한 내용 등을 함께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충분하고 심도 있는 정보 제공을 통해 말하기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화자에 대한 공신력도 높일 수 있기 때문
화법교육론 13장 발표 교육 (0) | 2023.08.25 |
---|---|
화법교육론 12장 협상 교육 (수정해야 함) (0) | 2023.08.25 |
반대 신문 (0) | 2023.05.05 |
정책 논제 필수 쟁점 (0) | 2023.04.21 |
나 전달법 효과 (0) | 2023.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