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간 의사소통의 특성
인간 의사소통은 근본적으로 한 개인이 자신의 정보, 느낌, 생각을 외부 세계와 주고받으면서 공통의 의미를 구성하고 조정해 가는 과정
개인의 소통 방식은 개인과 사회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고, 상황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인간 의사소통의 특성과 원리
-전인성의 원리 : 전인격적으로 소통한다.
-맥락 의존의 원리 : 상황이나 사회 등의 맥락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게 된다. 같은 말이라도 상황과 맥락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로 소통되는 것
-결속의 원리 : 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문법적 결속성과 함께 의미적 결속성을 갖추어야 한다.
-지식 의존의 원리 : 소통하는 사람의 지식에 의존한다.
전략
-경제성 극대화 전략 : 가능하면 편하고 간단하게 말하려고 하는 전략
-표현성 극대화 전략 : 가능하면 많은 의미를 전달하려고 하는 전략
2. 인간 의사소통에 대한 관점
객관주의 -> 구성주의로 변함에 따라
인간 의사소통을 화자가 일방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화자와 청자가 상호작용하면서 의미를 창조해 가는 역동적 의미 구성 과정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정확성보다는 적절성이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
-> 인간 의사소통은 사람들이 속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상호작용하는 것 & 개인의 생각과 느낌뿐 아니라 소통 참여자의 사회적, 역사적 맥락의 영향을 받는다.
인간 의사소통에 대해 접근하는 방식
-소통 과정 접근법
-기호학적 분석법
-민족지학적 접근법
화법교육론 3장 수용과 생산 과정으로서의 화법 (0) | 2022.11.19 |
---|---|
화법교육론 2장 화법 지식 (0) | 2022.11.19 |
청자 분석 (0) | 2022.11.19 |
3.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능 (0) | 2022.11.19 |
1. 화법의 본질 중 3) 화법의 요소 (0) | 2022.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