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a 5
[답안] (가)의 교수학습 방법은 '실제적 수행법'이다. 그 이유는 면담 대상자를 정하고 실제로 그 대상을 만나 전체 면담 과정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이다. (->(가)에서 면담 대상자를 정해 실제로 면담 수행을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ㄱ에는 '해당 분야의 면담 대상자를 조사하고 선정해 보자'가 들어가고 ㄴ에는 '만든 질문이 진로 탐색 목적에 적합한지 점검, 조정해 보자'가 들어간다. [관련 내용 정리] 화법교육론 6장 3) 담화의 특성에 따른 화법 지도 방법 담화의 상황이나 유형, 목적별로 음성언어 의사소통의 방법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대화 분석적 방법, 내재적 수행법, 실제적 수행법, 모의 수행법 등을 사용한다. (1) 대화 분석적 방법 (=담화 분석법, 메타 ..
국어교육론 기출
2023. 7. 14. 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