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화법교육론 5장 의사소통 점검과 조정

배운 내용 정리(화법)

by 예나 선생님 2022. 11. 19. 16:31

본문

5장 의사소통 점검과 조정

 

1. 의사소통의 점검 필요성

화법 교육도 담화 유형별 교육 요소를 기준으로 각 유형의 담화 전개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학습자 스스로 확인하고 점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사소통 점검은 담화 유형의 구조, 전개 과정의 단계별 진행, 참여자의 심리, 대화의 주고받음, 인간관계와 사회적 맥락 등 다양한 요소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담화 유형의 점검

자신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려면 자신이 현재 수행하는 담화가 어떤 유형인지, 그 특성은 무엇인지 등을 먼저 점검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담화는 목적, 대화 참여자의 역할이나 관계, 대화의 사회적 환경 조건 등에 따라서 나누어진다.

화법의 유형 분류 기준

1) 대화의 목적과 사회적 기능

2) 대화참가자 수와 참가자 사이의 관계

3) 대화가 수행되는 사회적 영역(제도)

4) 대화의 외적 상황과 맥락

대화 목적과 기능에 따라 정보전달, 설득, 친교와 오락, 정서 표현을 위한 말하기로 나뉜다.

화법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다양한 담화 유형의 원형을 담화 자료 수집과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그 원형을 학생들이 인지하고 실제 생활에서 그 유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3. 담화 구조와 전개 과정 점검

화법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의 구조가 존재

거시구조, 미시구조

거시구조 : 거시 차원에서 담화를 단지 시작, 중간, 종료 그리고 주변 단계로 나누었을 때 갖는 구조

미시구조 : 거시구조의 각 단계마다 이루어지는 개별 대화 행위와 행위 연속체로 구성

가. 담화의 거시구조와 전개 과정 점검

1) 준비 단계 점검

2) 시작 단계 점검

3) 전개 단계 점검

4) 종료 단계 점검

 

나. 담화의 미시구조와 전개 과정 점검

미시구조는 개별 발화의 발화행위 구조

명시적 발화행위, 묵시적 발화행위

메타언어 행위 : 언어나 언어행위 자체를 언급하는 행위

ㄱ. '다른 사람을 내 몸처럼 사랑한다.'는 말이 무슨 의미입니까?
ㄴ. 오늘 제가 여러분에게 아주 중요한 정보를 하나 일러드리겠습니다.
ㄷ. 지금까지 우리 회사가 현재 처한 위기 상황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이들 문장이나 발화는 언어나 언어 현상을 대상으로 다룬 것들

이런 것들을 '메타적 언어'이라고 하고, 또는 '언어에 대한 언어'라고 한다.

메타 커뮤니케이션 : 발화를 조정하고, 통제하기 위해서 이루어지는 상위 커뮤니케이션

전달 과정에 대한 점검, 화자의 발화 내용이나 태도, 동기 등에 대하여 언급하여 소통상의 문제를 예방하고, 화자가 말하는 것을 그치거나 상대방의 말 순서에 끼어드는 것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보내고, 또 전달 효과를 높이기 위해 메시지 내용을 조정하고, 메시지가 제대로 수신되고 이해되었나 등을 확인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ㄱ. 제 말이 잘 들립니까?
ㄴ. 제가 불쑥 이런 말을 꺼내는 것이 기분 나쁘게 들릴지 모르겠습니다.
ㄷ. 말씀 중에 죄송합니다만, 잠깐 제 말씀을 먼저 들어보십시오.
ㄹ. 할 말은 많지만 시간 관계상 여기서 맺겠습니다.
ㅁ. 제가 어디까지 말했죠?

메타 커뮤니케이션 행위들은 새로운 내용 전달 기능은 없지만, 화자와 청자의 의사소통 과정을 순조롭게 하고, 의사소통의 과정이나 효율성 등을 점검하는 행위라는 점에서 아주 중요하다.

말차례 : 대화 과정에서 어떤 사람이 대화에 참여하여 실제 말할 기회가 주어졌을 때, 그가 말을 할 수 있는 권리와 그 기회에 이루어진 언어적 표현 결과물

교체적정지점 : 적절하게 말차례가 바뀌는 시점/일반적으로 문장이 끝나는 지점

다. 담화 메타 분석과 점검

메타분석 : 일차적이고, 기본적인 대화 행위가 이루어지고 난 다음에 그것을 분석하는 것

화법의 목적, 진행 구조, 참여자의 인지 심리적 특성 등 화법 관련 요소와 전개 과정상의 문제를 발견하고, 그 문제점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조정하는 방안 등을 모색하는 과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