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읽기는 왜 가르쳐야 할까
1) 읽기 교육의 필요성
2) 읽기 교육의 목표
학교 읽기 교육은 독해를 가르치는 데에 비중을 둠
2. 읽기란 무엇인가
1) 읽기의 원리
(1) 해독과 해석
2) 독해 지도 방법 p.242
④ DRA/DRTA
제시된 글을 독해하면서, 그 과정에 읽기 기능을 지도하는 부분을 적절한 지점에 삽입하여 지도하는 구도
- DRA는 지도된 읽기 활동
동기 유발 및 배경지식 개발 | 교사가 읽을 글의 내용에 대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글의 내용과 학생들의 지식 및 경험을 관련시키도록 하고 시청각 자료 등을 활용한다. |
글 읽기 | 글을 읽고 내용을 알게 하는 과정 글 읽기에 앞서 이해의 방향을 잡아주기 위하여 알아야 할 핵심 사항을 질문을 만들어 제시 글을 다 읽고 난 후에는 질문에 답하도록 함 |
기능 학습 | 읽기와 관련된 기능 지도 ex. 핵심어 찾기, 지시어 찾기, 중심 문장 찾기, 문단 나누기 등 직접 교수법을 사용하여 집중적, 체계적, 단계적으로 지도하도록 함 |
후속 학습 | 익힌 기능들을 연습 문제를 통해 학생이 직접 해 봄 교과서의 글과 유사하거나 관련된 글을 찾아 더 읽어 보게 하거나 다양한 활동으로 심화 |
강화 학습 |
- DRTA는 안내된 읽기 사고 활동 (Directed Reading-Thinking Activity)
읽는 목적을 설정하거나 확인하기 | 학생 스스로 또는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으로 읽기의 목적을 설정한다. 이때 경험이나 배경지식 등을 활용 (2015 b 1 읽기 목적 : 추론하며 읽기) |
읽는 목적이나 자료의 성격에 맞게 독해 과정 조절하며 읽기 | 이렇게 설정한 목적에 따라 적절한 읽기 방법을 구상하여 자료의 특질에 맞게 읽도록 지도한다. 읽기 속도를 조절하고, 자기 관찰(초인지)을 하며 여러 전략을 생각 |
읽는 상황을 관찰하기 | 자료의 성격이나 목적에 맞게 알맞은 방법으로 읽는지 관찰 |
독해 지도하기 | 독해 여부를 확인하고, 예측한 내용이나 설정한 목적이 적절하였는지를 질의 응답을 하며 평가 ex. 너의 예언은 정확했니?, 너의 질문에 대한 답은 어디서 찾을 수있었니? |
중요한 읽기 기능 지도하기 | 이 글을 읽을 때 중요하게 작용한 기능이나 전략 가르침 ex. 직접 교수법, 현시적 교수법, 자발적 탐구 학습법 등 |
[모고 내용 추가](11.17) DRTA
읽는 목적을 설정하거나 확인하기 | •화제와 관련해 알고 있는 것, 더 알고 싶은 것 구분 •읽기 목적 설정하기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예측(예언)하기 및 질문 만들기 |
읽는 목적이나 자료의 성격에 맞게 독해 과정 조절하며 읽기 | •자신이 만든 질문에 답하고 예언이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빨리 혹은 천천히 읽기 •초인지 책략 적용 |
읽는 상황을 관찰하기 | •교사는 학생들이 자료의 성격이나 설정한 목적에 맞게 알맞은 방법으로 읽는지를 관찰함 •설정된 목적이나 질문이 글 속의 내용과 부합되지 않는다면 교사가 만든 질문을 주고 다시 읽게 함 |
독해 지도하기 | •학생은 자신이 예언한 내용이나 설정된 목적이 맞는지에 대하여 근거를 들어 말함 |
중요한 읽기 기능 지도하기 | •직접 지도법을 이용하며 그 글 속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읽기 기능들을 지도함 |
-----
직접 교수법 링크
현시적 교수법 링크
자발적 탐구 학습법 p.239
국교이 6장 (0) | 2023.03.19 |
---|---|
국교이 4장, 5장 (0) | 2023.03.19 |
6장 화법 교육 (0) | 2023.01.04 |
5장 국어과 평가(추가해야 함...) (0) | 2023.01.04 |
3장 국어 교과서 (0) | 2023.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