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화법교육론 8장 대화 교육

배운 내용 정리(화법)

by 예나 선생님 2022. 11. 19. 16:42

본문

제8장 대화 교육

 

1. 대화의 특성

가. 대화의 개념과 유형

두 사람 이상의 대화 참여자가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화자와 청자의 역할을 순서 교대에 의해 바꾸어가며 언어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것

정보 전달, 설득, 사회적 상호 작용, 정서 표현 등을 목적으로 이루어짐

. 대화의 구조

역할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순서 교대에 의해 순환됨

규칙1 : 어떤 순서의 교체 적정 지점에서 적용된다.

교체 적정 지점 : 현재의 화자가 다음 화자를 선택하여 호칭하거나 고갯짓이나 시선, 억양과 같은 신호를 보냄으로써 말할 권한을 넘겨주는 방식

자신의 말을 너무 길게 하거나 대화를 독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2. 대화의 원리

. 협력의 원리

대화가 진행되는 각 단계에서 대화의 방향이나 목적에 의해 요구되는 만큼 기여를 하라.

의사소통의 기본 전제인 상호성을 바탕으로 함

a. 양의 격률

지금 주고받는 대화의 목적에 필요한 만큼만 정보를 제공하라.

필요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지 말라.

b. 질의 격률

상위 격률 : 진실한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노력하라.

격률 : 거짓이라고 생각되는 말은 하지 말라. 진실성!

증거가 불충분한 것은 말하지 말라.

c. 관련성의 격률

적합성이 있는 말을 하라.

d. 태도의 격률

상위 격률 : 명료하라.

격률 : 모호한 표현은 피하라.

중의성은 피하라. 간결하게 말하라. 조리있게 말하라.

실제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람들은 의도적으로 이 대화의 격률들을 위반함 -> 자신의 발화 의도를 함축적으로 전달하기도 함

대화의 격률을 의도적으로 위배 -> 대화를 움직이는 진짜 힘은 표면적인 의미가 아니라 함축적인 의미

-----

. 적절한 거리 유지의 원리

상반된 욕구 = 연관성의 욕구, 독립성의 욕구

(1) 상대방과의 거리를 유지하라. - 독립성 욕구 존중

(2) 상대방에게 선택권을 주어라. 상대방으로 하여금 의견을 말하도록 유도하라. - 거리 유지 원리의 핵심!

(3) 항상 우호적인 태도를 견지하라. - 연관성 확보

(2)와 관련

대화를 통해 상대방에게 선택권을 주는 방법은 대개 우회적이고 간접적인 표현을 통해 실현됨

창문을 여세요 X 좀 덥지 않으세요? O

간접적이고 우회적인 표현은 상대방과의 정면충돌을 피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자기 방어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방과의 연대감의 욕구를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 효용 가치가 높다.

-----

다. 공손성의 원리

자기중심적인 생각을 상대방 관점에서 표현하려는 것

원만한 대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갈등 상황이나 문제 상황도 훨씬 유연하고 원만하게 해결해 나갈 수 있다.

정중어법 : 상대방에게 정중하지 않은 표현은 최소화하고 정중한 표현은 최대화하라

1) 요령의 격률

상대방에게 부담이 되는 표현은 최소화하고 상대방의 이익을 극대화시키는 표현을 최대화하라

ex. 미안하지만 손 좀 잠깐 빌려 줄 수 있겠니? 이것만 옮기면 되는데 힘에 좀 부치는구나.

도움을 청하는 내용의 말을 간접적이고 우회적인 방법으로 표현

질문의 형식 -> 상대방에게 거절할 수 있는 선택의 여지를 허용해 줌 -> 상대방의 부담을 최대한 줄여주고 있다.

2) 관용의 격률

화자 자신에게 혜택을 주는 표현은 최소화하고 자신에게 부담을 주는 표현을 최대화하라

다른 사람이 지게 될 짐을 자신이 대신 지라는 것

나쁜 ex. 좀 크게 말하세요. 하나도 안 들려요.

-> 상대방에게 자신이 못 알아들은 책임을 떠맡기는 것, 무례한 표현법

ex. 제가 내용을 놓쳤는데 죄송하지만 조금만 더 크게 말씀해 주시겠어요?

-> 못 들은 책임을 자신의 탓으로 돌려서 자신의 부담을 최대화하는 대신 상대방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정중한 표현

3) 찬동의 격률

다른 사람에 대한 비방을 최소화하고 칭찬을 극대화하라

ex. 집이 참 좋네. 사모님 살림 솜씨가 대단하신데? 김 직원은 좋겠어. 이렇게 아름다우시고 착하신 부인과 함께 사니...

4) 겸양의 격률

자신에 대한 칭찬은 최소화하고 자신에 대한 비방을 극대화하라

ex. A : 김 직원은 언제나 열심이군. 대단해. 토요일엔 좀 쉬어.

B : 아닙니다. 제가 워낙 일을 못해서 나온 것뿐이랍니다.

자신을 추켜세우는 선배의 칭찬을 부정하고 자신을 낮춤으로써 겸양의 격률을 지키고 있다.

5) 동의의 격률

자신의 의견과 다른 사람의 의견 사이의 다른 점을 최소화하고 자신의 의견과 다른 사람의 의견 사이의 일치점을 극대화

ex. A : 우리 놀이공원 갈래? ㅎㅎ

B : 놀이공원? 좋지. 재미있겠다. 근데 나 부장님께 뮤지컬 초대권 2장을 받았는데 오늘이 마지막 날이라서... 뮤지컬 가는 것도 괜찮은데...

A : 그래? 그러면 뮤지컬 가지 뭐. 놀이공원은 다음에 가도 되니까.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해 줌으로써 상대방과의 일치를 강조하고 나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는 동의의 격률을 지키고 있음

상대방과 견해가 서로 다를 경우 갈등이나 대립을 피하는 바람직한 방법이 될 수 있음

 

라. 체면 유지의 원리

-----

체면 위협의 정도에 따라 대화 참여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섯 가지 전략 제시

-전략1 : 예의를 갖추지 않고 단도직입적으로 체면위협행위를 한다.

예의를 갖추는 데 필요한 표현을 전혀 하지 않고 노골적으로 자신이 바라는 바를 직접적이고 명확하게 말하는 것

-전략2 : 적극적 예의를 갖춰 체면위협행위를 한다.

유대감을 나타내고 상대를 존중하는 표현 사용

즉,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간접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예의를 갖추고 상대를 존중하기 위한 노력을 하며 '동지애 전략'을 사용하여 유대감과 소속감을 드러낸다.

-전략3 : 소극적 예의를 갖춰 체면위협행위를 한다.

상대에게 강요하지 않고 개인적 권리를 침해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현해야 한다.

-전략4 : 암시적으로 체면위협행위를 한다.

체면위협행위로 인한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자신의 바람을 명시적으로 전달하지 않고 암시적으로 말함 -> 이에 대한 해석의 여부를 상대에게 전가

-전략5 : 체면위협행위를 안 한다.

요청할 바가 있지만 상대의 체면을 위협할 소지가 있으므로 침묵하는 경우 등

 

3. 공감적 대화 (21 기출)

가. 집중하기

1) 시선 접촉-부드러운 눈맞춤

2) 얼굴 표정-온화한 미소

3) 고개 끄덕임

4)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자세

5) 즉각적인 언어적 반응-간단한 응대 말

 

나. 공감적 듣기 (21 기출)

 

다. 공감적 대화하기

관련글 더보기